- 소비자 토론자(패널) 1.500가구 농식품 가계부 분석
- 농촌진흥청, 15일 ‘농식품 소비행태 변화 학술 토론회’ 개최

소비자들은 물가, 금리, 환율 중 물가 상승이 최근 식생활에 영향을 가장 크게 주고 있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남.
소비자들은 물가, 금리, 환율 중 물가 상승이 최근 식생활에 영향을 가장 크게 주고 있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남.

세계적인 경기 침체와 주요국의 고강도 금리 인상으로 촉발된 3고(고물가·고금리·고환율)* 현상이 농식품 소비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

 * 최근 3년 대비(’22/’19년): 물가 17.7%↑, 기준금리 2%P↑, 환율 126.3원↑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소비자 토론자(패널) 1,500가구의 농식품 가계부 자료를 활용해 3고 현상에 따라 농식품 소비행태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2020~2021년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신선식품 구매가 전년 대비 증가했으나 코로나 일상(위드 코로나) 시기인 2022년에는 다시 감소하여 코로나19 발생 전 추세로 돌아갔다.

물가가 급격히 상승한 최근 3년간, 가구당 전체 농축수산물 구매액은 1.4% 줄었으나, 과일은 9.3%, 채소는 6.9% 감소했고, 축산물은 0.8% 증가했다.

물가상승률은 채소, 축산물, 과일 순으로 높았지만, 과일의 구매액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해 소비자는 물가가 오르면 농축산물 중 과일 구매를 가장 많이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격이 내릴 경우, 구매를 늘리는 농산물도 과일 비중이 가장 높아 상대적으로 필수재 성격이 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바구니 물가 부담을 줄이기 위한 실속형 소비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물가 부담에 따른 소비행태 변화를 설문 조사한 결과, 비뚤이 농산물, 유통기한 임박 농산물 등의 구매가 늘었다. 특히, 비뚤이 농산물구매를 늘렸다는 응답이 19.1%로 가장 많았다.

물가가 급격히 상승한 최근 3년간, 전체 농축수산물 가구당 구매액은 1.4% 줄었으나, 과일 구매액은 9.3%, 채소는 6.9% 감소했고, 축산물은 0.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물가가 급격히 상승한 최근 3년간, 전체 농축수산물 가구당 구매액은 1.4% 줄었으나, 과일 구매액은 9.3%, 채소는 6.9% 감소했고, 축산물은 0.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가격을 중시하는 소비자는 마감 할인 등 유통기한 임박 농산물을 주로 찾았고, 구매와 조리 편리성을 추구하는 소비자는 냉동농산물을 선호했다. 맛, 안전성 등 종합적인 선호도는 비뚤이 농산물이 일반농산물 다음으로 높았다.

환율 인상이 수입 과일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면서 수입 과일의 구매액이 감소했다. 최근 5년간 환율이 가장 낮았던 2018년에 비해 2022년 가구당 수입 과일 구매액은 26.6% 감소했다.

구매 비중이 가장 높은 슈퍼마켓의 비중이 줄고 상대적으로 저렴하다고 인식되는 온라인 시장으로 농식품 구매가 이동한 것으로 나타남.
구매 비중이 가장 높은 슈퍼마켓의 비중이 줄고 상대적으로 저렴하다고 인식되는 온라인 시장으로 농식품 구매가 이동한 것으로 나타남.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급격히 성장한 온라인 시장이 3고 영향으로 더욱 커지고 있다. 농식품을 즐겨 구매하던 장소로 대형 잡화점(슈퍼마켓)의 비중이 줄고 상대적으로 저렴하다고 인식되는 온라인 시장에서 농식품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9월 15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센터)에서 열리는 2023 농업기술박람회 부대행사로‘농식품 소비행태 변화 학술 토론회'를 개최하고 자세한 내용을 발표한다. 발표 영상과 자료는 농촌진흥청 농사로 누리집(www.nongsaro.go.kr)에도 게시할 예정이다.

조재호 농촌진흥청장은“3고 시대를 슬기롭게 극복하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이 무엇을 원하는지를 정확히 알고 반영해야 한다.”라며“농촌진흥청은 지난 13년간 축적한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 농식품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소비자 중심의 신품종·신제품 개발에 더욱 매진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