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군인은 군에서 복무하는 것을 보람 있는 삶이라고 생각하는 군인을 의미한다. 단순히 군인으로서 봉사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으며 경제적 목적을 위해 고용되는 용병제도와도 다르다. 생활보장을 위해 보수는 지급되지만 몸과 마음을 바쳐 국가에 충성해야 하는, 우리나라처럼 특수한 몇몇 나라에서 채택하고 있는 제도다.

그렇기 때문에 직업군인들은 벽지·오지에서의 근무와 함께 빈번한 이동으로 자녀 교육, 내 집 마련 등 여러 가지 어려움을 감수해야 한다. 유사시에는 국가를 위해 목숨을 바쳐야 하는 막중한 책임감도 짊어진다.

이러한 직업군인은 특수한 군 계급구조 때문에 중도 전역을 하지 않으면 안된다. 일반 공무원에 비해 평균 12년 정도 조기 퇴직을 하게 되며 생애 최대 지출시기인 40∼50대에 실직이 가장 많다는 점도 특징이다. 실제로 해마다 6000여명의 직업군인이 군을 떠나 일반 사회인의 삶을 살아간다.

제대군인이란 장교, 준사관, 부사관 또는 병으로서 병역법 또는 군인사법에 따라 군 복무를 마치고 전역한 사람이다. 국가보훈처에서 중점 지원하고 있는 제대군인은 중장기(5년~10년 미만 또는 10년 이상) 복무 제대군인과 의무복무를 마친 사람이 모두 포함된다.

이러한 제대군인들의 사회복귀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일반인들의 전직(轉職)은 같은 분야에서 직업을 바꾸거나 똑같은 직업을 유지하면서 분야를 바꾸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직업군인의 경우 직업과 분야를 모두 바꿔야 한다. 더불어 군 조직에서 사회라는 이질적인 조직에 적응해야 하는 불리한 조건도 안고 있다.

20~30대 청춘들에게도 일자리란 높은 장벽인데 국가를 위해 그들의 청춘을 바친 40대 중반의 제대군인들에게 일자리를 얻기란 얼마나 높은 장벽일까? 제대군인들에게 이 시기는 생애 주기적인 측면에서 보면 자녀들의 학비 또는 결혼이나 노인의 부양 등으로 인한 지출이 최대로 늘어나는 시기이다.

그래서 이들이 체감하는 일자리에 대한 불안은 심각한 수준에 달하고 있다. 이러한 불안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 되었으며 국가의 안전을 위협하는 하나의 요인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국가보훈처에서는 직업군인들이 전역한 이후 제2의 인생을 설계할 수 있도록 제대군인지원센터를 운영하며 취업·창업 상담, 직업훈련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제대군인의 사기를 높이고 이들이 안전하게 사회에 정착할 수 있도록 각종 정책을 펼치고 있다. 제대군인의 우수성을 알리고, 일자리 발굴 및 지원, 제대군인 주간 운영, 기업체와의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하는 등 취업을 위한 전직교육 및 직업훈련도 실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제대군인에게 감사와 일자리를‘이라는 슬로건을 걸고, 제대군인의 자긍심을 높이고 국민들로 하여금 이들에 대한 존경과 감사를 표하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하고자 2012년부터 1주일간을 제대군인 주간으로 지정하여, 제대군인 지원 유공 시상식 및 각 지방청별 취·창업한마당 개최, 국민 참여형 콘서트 행사 추진 등 다양한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

군이라는 폐쇄된 곳에서 생활한 제대군인들에게 성공적인 사회 복귀는 험난하고 외로운 길이다. 이들이 사회로 자연스럽게 복귀할 수 있도록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이 그들을 배려하고 따스한 시선으로 바라봐주었으면 한다.

저작권자 © 뉴스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